네이버 애드포스트 / 카카오 애드핏 수익률 비교
작년 5월 부터 일기쓰듯이 블로그를 써왔고
벌써 네이버 애드포스트와 카카오 애드핏을 각 각 하고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이고
카카오 애드핏은 티스토리로 운영중이다.
아직 구글 애드센스는 승인 단계에 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는 포스팅수 50개 방문자 50이
넘자 승인이 났고
카카오 애드핏은 포스팅 30개 방문자 30이 되니
승인이 났다. 애드핏은 굉장히 쉬운걸로 알고 있다.
그럼 바로 애드핏과 애드포스트 수익을 비교해보려 한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광고 노출보다 광고 클릭이 중요
위에 표에 나와있듯이 노출수보다 클릭에 따라
수익률이 많이 차이가 난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클릭에 따라서도 가격차이가 있는데
그건 어떤 광고를 클릭했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심하다.
예를 들어 맛집이나 특정 제품 공식몰 클릭은
10원~400원 정도를 주면
법률 관련글에 전문 법률사무소를 클릭하면
4000~5000원 정도를 준다.
예전에 누가 내 법률글을 눌러줘서
한달 벌이를 하루만에 해줬다.
노출이 중요한 카카오 애드핏
네이버 다르게 카카오 애드핏은 노출기반 수익이다.
그래서 인지 광고의 위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온 곳곳에 도배도 가능!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수익율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난다.
노출기준으로 비교해서
네이버 : 620회 노출 / 27원
카카오 : 116회 노출 / 73원 이다.
하지만 클릭에 관련되서는 카카오 애드핏은
굉장히 짜다.
살짝 이 수치를 보고 현타가 왔다.
처음부터 카카오 애드핏 티스토리나 할 걸 그랬나?
하지만 꼭 카카오 애드핏 티스토리가 좋은건 아니다.
위 결과만 보면 어차피 클릭도 적은데
티스토리나 하자!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티스토리를 통한 카카오 애드핏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네이버가 인기 있는건 다 이유가 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장점은
일단 첫번째 블로그 포스팅 기능이 네이버가 월등히 편리하다.
물론 티스토리도 많이 발전했지만 네이버가 편리하긴 하다.
개인적으로는
꾸준히 포스팅을 쓰고 사용자의 평균사용시간 관리만
잘한다면 노출이 매우 잘된다.
티스토리 카카오 애드핏은 조회수가 0명인 글도 많고
조회수 자체를 올리기도 매우 힘들지만..
그에 비해 네이버 블로그는 꾸준히 쓰고 공략만 잘 한다면
조회수 올리는 것은 비교적 쉽다.
그에비해 다음과 아주 일부분 구글 검색을 이용하는
카카오 애드핏 티스토리는
카테고리를 잘 못 맞춘다면 조회수 올리기가 엄청 어렵고
네이버 블로그 대비 증가폭도 개인적으론 매우 어려웠다.
그럼 뭘 하라는건지? 어쩌라는 걸까?
카카오 애드핏, 네이버 애드포스트 결과를 말하자면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지만
본인이 다루는 글이 전문성을 띠고
남들이 다루기 어렵고 하지만 키워드나 검색이 쫌 되며
특히! 클릭당 금액이 높은 카테고리라면 당연 애드포스트를 추천한다.
클릭당 비싼 주제는 검색하면 다 나온다.
(네이버는 포스팅 글관 관련있는 광고를 내보낸다)
그리고 금액이 적다고 맛집은 티스토리에 쓰는것은
개인적으론 비추한다.
내 블로그에 에버랜드 내부에 있는 맛집 같이 특이한 것을 제외하면
그냥 맛집은 조회수가 안나오더라..
다만 네이버는 꾸준히 포스팅 하니 점점 유입량이 늘어난다.
마치 맛집 글을 쓰는것도 많지만 찾는것도 많다 원리인듯
그에비해 카카오 애드핏은
누구나 궁금해 할만한 지식글이나
다음에서 많이 검색되는 카테고리를 쓰는게 맞는것 같다.
솔직히 제일 좋은 방법은 다양한 주제로 써보고
쫌 나오는 주제나 카테고리를 쭉 이어서 쓰는게
제일 확실한 방법이긴 한거 같다.
개인적으론 제품 리뷰나 지식글이 다음에서 잘 나오더라
물론 네이버 블로그 대비 한참 적지만..
대부분 블로그를 부업으로 운영하는 분들을 보면
2~3개씩 여러채널에서 운영하는 것 같다.
하지만 본인이 이게 어렵다면
채널에 맞는 카테고리를 써 나가는게 맞는거 같다.
검색해서도 쉽게 찾을수 있고 심지어 책도 많다..
열심히 썻는데 한주에 0명이 보면 허탈하니까..
본인이 쓰는 채널에대해 그냥 일기쓰다가 돈좀 받지뭐~ 가아니라면
조금은 공부하고 조사하고 포스팅 하는것을 추천한다.
'성장바인더 >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 없는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하기 / 폐업 후 세금 신고 (0) | 2023.03.27 |
---|